볼락, 위판장에서 가장 낙찰 경쟁이 심한 어종
활어 횟집의 클래스를 가늠하게 해주는 볼락
락피쉬, 볼락 조업
여름의 기운이 오기 전까지 물때에 맞춰 볼락과 농어 조업은 밤낮이 없다.
육지의 시간이 아닌 오로지 바다의 시간에 맞춰 고기의 활성이 오르는 시간 때는 작업을 그렇지 않은 시간에 휴식을 가지는 식이다.
볼락은 철저한 락피쉬로 암반 지형을 조금이라도 벗어나서는 전혀 기대를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목표로 삼은 어장의 해도에서 암반으로 표시된 곳은 물론이며 해도에 표시되지 않은 암반 지형을 발견할때면 플로터에 해당 지점을 꼭 저장해두었다가 볼락이나 열기와 같은 락피쉬 조업때 적극 활용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락을 낙찰받기 위한 치열한 경쟁
선상에서 잡히는 볼락은 평균 체장이 25cm 남짓일 만큼 크며 30cm 에 육박하는 사이즈도 심심치 않게 잡히는데 물 흐름, 물색, 바람등 호조건이 갖춰졌을때를 제외하곤 여간해서는 많은 생산량을 거두기가 어렵다.
위판장에서 중매인들 간의 쟁탈 경쟁이 가장 확연하게 눈에 보이는 어종이 볼락이다.
즉, 자신의 조업 구역에 볼락 개체가 많다면 주 조업 대상으로 삼을 필요가 있는 것이다.
무게 계측을 통한 활어 위판이지만 23~25cm 급들과 26~30cm 급의 대형 개체를 바구니 분리해서 위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큰 개체가 당연히 더 비싸게 거래된다.
- 조업 시기는 봄으로 민농어 조업 시기와 겹치며 포인트도 겹치는 경우가 많다.
볼락, 활어로 유통하자
볼락은 다양한 수심에서 잡히는데 보통 10미터 이상의 수심에서 잡는 경우 잡은 즉시 피징(공기빼기)을 해서 어창에 모시는 것이 확실히 살릴 수 있는 방법이다.
활어 조업을 목표하는 어선은 피징 바늘을 여러 사이즈로 구비해두는 것이 좋다.
알리에서 각각 고기 양념 주사기, 수의학 바늘로 검색하면 위와 같은 제품을 찾을 수 있다.
볼락은 작은 개체라서 위 슬라이드 이미지 중 16~20번 사이즈 바늘이면 적당하다.
약 25미터 이상의 수심에서 잡는 경우 피징을 해도 죽는 확률이 높으므로 조업 포인트를 수심이 25m 이하로 선택하는 편이다.
50~60급의 우럭과 같은 락피쉬는 낚시점에서 판매하는 피징 바늘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우럭은 강인한 물고기라 60미터 이상의 수심에서 잡아도 피징만 잘 해주면 거의 죽지 않는다.
볼락 조업 중 만나는 근사한 손님 고기
볼락과 농어 조업시 손님 고기로 부가 가치가 높은 큰 쥐노래미와 감성돔이 곧잘 잡힌다.
무게가 800g~1.5kg 정도의 대형 쥐노래미는 위판 가격이 높고 수온이 낮게 유지될 때 잘 잡히며 볼락보다 평균 무게가 많이 나가므로 좋은 소득원이다.
쥐노래미는 포악한 성질로 인해서인지 100% 자연산만 있다고 한다.